안녕하세요 느린 블로그의 정거북입니다
이번에 아버지의 컴퓨터를 조립하기 위해 검색하던 중
컴퓨터 부품 방법에 대해 나누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번 포스팅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데스크탑 CPU를 어떻게 고를까 고민하다가
여기까지 오셨을 텐데요
언제 어느때건 중간은 가는
CPU 고르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데스크탑을 조립하고자 할때
가장 먼저 정하는게 바로 "CPU"입니다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컴퓨터 부품 시장 자체가
바뀌는 속도가 빠르고 신제품도 불쑥불쑥 나오기에
제품명을 딱 찍어서 추천해드리지는 못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는 물고기 잡는법에 대한 것입니다
포스팅 작성하자마자 보시는 분들은
거의 그대로 따라가시면 중간은 하실겁니다
CPU 고르는데 있어서
저는 3가지의 Point를 생각합니다
1. 용도
2. 예산, 성능
3. 인기도(여론)
예산과 성능은 대부분 그렇다 생각하겠지만
인기도? 가 좀 생소하실텐데요
인기도는 제가 최종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인기도가 가지는 의미는 꽤 큽니다
많이 쓰이는 것은 많이 쓰이는 이유가 있고,
많이 쓰이는 것은 나중에 찾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을 바꿔서 말하면
안정성과 중고 처분의 용이성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이제 정말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처음으로 용도를 정합니다
사실 용도는 컴퓨터가 필요한 이유와 같죠
용도가 사무용 혹은 간단한 작업들이라면
AMD의 보급형, 가성비라인을 추천합니다
게이밍, 영상편집, 개인방송을 생각하신다면
AMD의 고성능 혹은 Intel i5(중급) 이상을 추천함다
특히 게임을 한다면 인텔쪽을 추천
두번째 단계에서는 예산과 성능을 고려합니다
저는 간단하게 가격을 알아볼때 쓰는 방법은
네이버에서 "CPU 성능순위" 라고 검색해서
가장 최근의 게시물을 살펴봅니다
말 그대로 성능 순서대로 정렬이 되어있고,
레퍼런스 가격이 달러로 써 있습니다
한국 가격보다 대부분 저렴하게 되어있지만
대략적인 금액을 알 수 있어서
본인의 예산에 맞는 CPU를 찾기 수월합니다
이 단계에서 대략적인 CPU 3~5개 정도 골라봅니다
마지막 살펴볼 인기도는 어떻게 알아보는가?
사용자들의 의견을 찾아봅니다
다나와 PC견적에 들어가서 봐둔 CPU를 클릭하면
상품의견 혹은 사용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른 부품들은 상품의견에 최적화를 묻는 반면
CPU에는 그래도 상품에 대한 평가가 많이 있더라구요
이 외에도 퀘이사존 등의 커뮤니티에서
점찍어두었던 CPU를 검색해보시면
대략적인 의견들을 보실 수 있으신데
의견들을 종합하여 CPU를 고르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CPU 이거 사느니 저거 산다 라는 의견이 많으면
저거를 사면 되는 식입니다
예산, 성능, 용도, 인기도
이 4가지 기준을 가지고 CPU를 검색하다보면
여러분들에게 꼭 맞는 CPU를 고르실 수 있을겁니다!
저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2020년 8월 5일 기준으로
아버지 컴퓨터의 CPU를
AMD 라이젠 3 - 3300x
로 골랐습니다
가격은 저렴하고
하지만 가격에 비해 성능이 괜찮습니다
용도는 간단한 영상편집까지 가능하도록
3600 과 퍼포먼스가 비슷하지만
3600의 가격이 올라가서
3300X의 가격이 합리적이 되었습니다
사용기도 3600과 3300x를 고민하거나
비교하신 분들이 많은데
가격적인 측면이 커서
3300을 구매했습니다
여러분도 CPU 한번 골라보셨나요?
여러분들만의 기준이 있는지
제가 빠뜨린게 있는지
고르셨다면 어떤걸 고르셨는지 궁금하네요
덧글로 소통하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추천 CPU 를 몇개 골라봤습니다
한번 둘러보세요
본 포스팅의 링크는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링크를 통한 구매시
작성자에게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됨
(구매자 부담X)
'IT, 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스크탑 RAM 선택하기 | 컴알못도 할 수 있는 데스크탑 조립식 컴퓨터 견적 무난하게 짜기 (0) | 2020.08.26 |
---|---|
메인보드 고르는 나만의 방법(검색 가이드) | 컴알못도 할 수 있는 데스크탑 조립식 컴퓨터 견적 무난하게 짜기 (0) | 2020.08.25 |
크롬에서 Flash player 지원 중지 메세지 그만 보자 (0) | 2020.08.21 |
Windows 10 제품키 변경 전 필수 작업, 제품키 등록, 삭제, 변경, 정품확인 명령어, 레지스트리 삭제하는 방법 (Fear. cmd slmgr 기능 총 정리) (0) | 2020.06.02 |
윈도우 10 home 정식버전에서 윈도우 10 pro (ESD)제품키 구입하여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무 포맷, 부팅 USB 만들기도 필요없음) (0) | 2020.05.21 |